03wk-1: 측도론 intro (3)

최규빈

2023-03-16

강의영상

https://youtube.com/playlist?list=PLQqh36zP38-y_-OXU_IFt6uH3oo61swW4

지난시간 내용

전사, 단사, 전단사

함수 \(f: X \to Y\) 를 상상하자.

- 단사함수(일대일함수,인젝티브한 함수): \(\forall x_1,x_2 \in X: ~ x_1 \neq x_2 \Rightarrow f(x_1)\neq f(x_2)\)

  • 암기 (고등학교): 입력이 다르면 출력이 달라
  • 느낌: 화살표가 팍 퍼지는 느낌
  • 그래프를 이용한 판단 (고등학교): 수평선을 그어서 교점이 2개 이상이면 단사함수가 아님

- 전사함수(위로의함수,서젝티브한 함수): \(\forall y \in Y~ \exists x \in X\) such that \(f(x)=y\)

  • 암기 (고등학교): 치역 = 공역
  • 암기 (대학교): inverse image가 정의역에 있어야함 (\(\star\))
  • 느낌: 화살표가 모이는 느낌
  • 그래프를 이용한 판단 (고등학교): 모양으로 판단하기 애매함..1
  • 1 \(y=x^2\)은 공역을 \(\mathbb{R}\)로 설정한다면 전사함수가 아니지만 공역을 \(\mathbb{R}_{\geq 0}\)로 설정한다면 전사함수임

  • - 전단사함수(일대일대응함수,바이젝티브한 함수)

    예제 (finite cases)

    예시1

    그림1: 단사함수 O, 전사함수 X

    - 단사함수임을 따져보자!

    \(\forall x_1,x_2 \in X: x_1\neq x_2 \Rightarrow f(x_1)\neq f(x_2)\)

    \(x_1\) \(x_2\) \(f(x_1)\) \(f(x_2)\)
    1 2 D B
    1 3 D A
    2 1 B D
    2 3 B A
    3 1 A D
    3 2 A B

    - 전사함수임을 따져보자!

    \(\forall y \in Y ~ \exists x \in X\) such that \(f(x)=y\)

    \(y\) \(x\) such that \(f(x)=y\)
    D 1
    B 2
    C ?
    A 3

    예시2

    그림2: 단사함수 X, 전사함수 O

    - 단사함수임을 따져보자!

    \(\forall x_1,x_2 \in X: x_1\neq x_2 \Rightarrow f(x_1)\neq f(x_2)\)

    \(x_1\) \(x_2\) \(f(x_1)\) \(f(x_2)\)
    1 2 D B
    1 3 D C
    1 4 D C
    2 1 B D
    2 3 B C
    2 4 B C
    3 1 C D
    3 2 C B
    3 4 C C
    4 1 C D
    4 2 C B
    4 3 C C

    - 전사함수임을 따져보자!

    \(\forall y \in Y ~ \exists x \in X\) such that \(f(x)=y\)

    \(y\) \(x\) such that \(f(x)=y\)
    D 1
    B 2
    C 3,4

    예시3

    그림3: 단사함수 X, 전사함수 X

    - 단사함수임을 따져보자!

    \(\forall x_1,x_2 \in X: x_1\neq x_2 \Rightarrow f(x_1)\neq f(x_2)\)

    \(x_1\) \(x_2\) \(f(x_1)\) \(f(x_2)\)
    1 2 d d
    1 3 d c
    2 1 d d
    2 3 d c
    3 1 c d
    3 2 c d

    - 전사함수임을 따져보자!

    \(\forall y \in Y ~ \exists x \in X\) such that \(f(x)=y\)

    \(y\) \(x\) such that \(f(x)=y\)
    a ?
    d 1,2
    b ?
    c 3

    예제 (infinite cases)

    예시1

    - 아래를 판단해보자.

    1. \(f:\mathbb{R} \to \mathbb{R}\) defined by \(f(x)=2x+1\). // 답2

    2. \(f:\mathbb{R} \to \mathbb{R}\) defined by \(f(x)=x^2\). // 답3

    3. \(f:\mathbb{R} \to \mathbb{R}_{\geq 0}\) defined by \(f(x)=x^2\). // 답4

    4. \(f:\mathbb{Z} \to \{0,1\}\) defined by \(f(x)= x ~\text{mod}~ 2\). // 답5

    5. \(f:\mathbb{N} \to \mathbb{N} \cup \{0\}\) defined by \(f(x)= x-1\). // 답6

    6. \(f:\mathbb{N} \to \mathbb{N}^-\) defined by \(f(k)= -k\). // 답7

      • 여기에서 \(\mathbb{N}^-\{-1,-2,\dots,\}\) 으로 정의
  • 2 단사 O, 전사 O

  • 3 단사 X, 전사 X

  • 4 단사 X, 전사 O

  • 5 단사 X, 전사 O

  • 6 단사 O, 전사 O

  • 7 단사 O, 전사 O

  • 예시2

    - 집합 \(X\)가 집합 \(Y\)의 부분집합이라면 항상 \(X\)에서 \(Y\)로 향하는 단사함수가 존재함을 보여라.

    • 따라서 \(X \subset Y\) \(\Rightarrow\) \(|X|\leq |Y|\)

    실수집합의 카디널리티

    - 아래의 관계가 성립했다.

    • \(|\mathbb{N}| = \aleph_0\)
    • \(|\mathbb{N}\cup \{0\}| = \aleph_0\)
    • \(|\mathbb{Z}| = \aleph_0\)
    • \(|\mathbb{Q}| = \aleph_0\)

    - 그렇다면 아래는 어떠할까?

    \[|\mathbb{R}|=??\]

    (주장) 실수의 유리수의 카디널넘버 보다 크다.

    그런데 유리수의 카디널넘버와 자연수의 카디널넘버가 같다는 것을 떠올리면 “실수의 카디널넘버는 자연수의 카디널넘버보다 크다” 를 보여도 충분함을 유추할 수 있다.

    (단사)

    자연수에서 실수로 가는 단사함수는 존재한다. (자연수는 실수의 부분집합이니까)

    (전사)

    소망: \(\mathbb{N}\)에서 \(\mathbb{R}\)로 향하는 전사는 존재할 수 없음을 보이고 싶음.

    소망2: 그런데 \(\mathbb{N}\)에서 \([0,1]\)로 향하는 전사가 존재할 수 없음을 보여도 충분함.

    전략: \(\mathbb{N}\)에서 \([0,1]\)로 가는 전사가 존재한다고 가정하고 모순을 이끌어 내자.

    1. 아래와 같은 주장을 하는 가상의 인물을 세움:

    \(\mathbb{N}\)에서 \([0,1]\)로 향하는 전사함수가 존재한다.

    2. 그 가상의 인물이 하는 주장을 잘 생각해보면 아래와 같음

    \(f\)는 정의역이 자연수이고 공역이 실수인 함수이므로 아래와 같은 형태일 것임.

    • \(f(1)=0.2344253456\cdots\)
    • \(f(2)=0.3459837981\cdots\)
    • \(f(3)=0.5452349871\cdots\)
    • \(\dots\)

    그 가상의 인물의 주장대로라면

    \[[0,1]=\{f(1),f(2),f(3),\dots\}\]

    이라는 의미임.8

  • 8 다시 말하면 \([0,1]\) 사이의 모든 실수는 “셀수있다”라는 의미임

  • 3. 전사함수의 정의에 의하여 아래가 성립해야 함

    \(\forall y\in [0,1] ~\exists x \in \mathbb{N}\) such that \(f(x)=y\)

    아래의 원리에 따라서 \(y=0.x_1x_2x_3\cdots\)를 뽑는다면?

    • \(y\)의 첫번째 소수점의 값 \(x_1\)\(f(1)\)의 첫번째 소수점과 다르게 한다. \(\Rightarrow\) \(y\neq f(1)\) \(\Rightarrow\) \(y \notin \{f(1)\}\)
    • \(y\)의 두번째 소수점의 값 \(x_2\)\(f(2)\)의 두번째 소수점과 다르게 한다. \(\Rightarrow\) \(y\neq f(1)\) and \(y\neq f(2)\) \(\Rightarrow\) \(y \notin \{f(1), f(2)\}\)

    이러한 \(y\)는 분명히 실수이지만 \(y \notin \{f(1),f(2),f(3),\dots,\}\) 이다.9

  • 9 모순이네?

  • 무리수집합의 카디널리티

    (주장) 무리수집합의 카디널리티는 \(\aleph_0\)가 아니다.

    (쉐도복싱) 무리수집합의 카디널리티가 \(\aleph_0\) 이라고 하자.

    • \(\mathbb{R} = \mathbb{Q} \cup \mathbb{Q}^c\)
    • \(|\mathbb{Q}|=\aleph_0\) 이므로 \(\mathbb{Q}\)\(\mathbb{N}\)사이에는 전단사함수가 존재함.
    • \(|\mathbb{Q}^c|=\aleph_0\) 이므로 \(\mathbb{Q}^c\)\(\mathbb{N}^{-}=\{-1,-2,\dots\}\)사이에는 전단사함수가 존재함.
    • 따라서 \(\mathbb{Q} \cup \mathbb{Q}^c\)\(\mathbb{N} \cup \mathbb{N}^-\) 사이에는 전단사함수가 존재함. (모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