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주차) 3월21일
튜플을 쓰는 이유, 스트라이딩, if문이 포함된 컴프리헨션, 조건부리턴, len함수, summary, 딕셔너리(선언, 원소추출, 원소추가, 원소변경, 삭제)
-
(1/7) 튜플을 쓰는 이유
-
(2/7) 인덱스고급: 스트라이딩 (1)
-
(3/7) 인덱스고급: 스트라이딩 (2)
-
(4/7) 컴프리헨션고급 (if문이 포함된 컴프리헨션)
-
(5/7) 함수고급 (조건부리턴), len함수
-
(6/7) summary of str/list/tupel, 딕셔너리 (모티브, 선언, 원소추출, 원소추가, 원소변경, 삭제)
-
(7/7) 숙제설명
-
책의 설명 (이 설명이 꼭 파이썬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 모든 언어에 존재하는 불변형 객체에 적용가능한 설명)
- 실수방지
- 빠르다, 다중작업에 유리하다, 여러사람과 작업하기에 유리하다, 깊은복사/얕은복사시 원하지않는 오류(side effect이라고 함)를 방지할 수 있다, 메모리관리에도 유리함...
- 느낌: 불변형은 기능제한이 있는데 가볍고 빠른, 가변형은 기능은 풍부하지만 약간 느리고 무거운 느낌임 (불변형:라면사리, 가변형:라면)
-
내 설명
- 튜플의 장점은 소괄호의 생략에 있음 (이것은 파이썬과 줄리아만 가능)
- 이것이 언패킹구문과 결합하여 어마무시한 가독성을 제공
def mycal(a,b):
return a+b, a-b, a*b, a/b #여러개의 값을 리턴하는듯 보임. -> 사실은 길이가 4인 튜플 1개를 리턴
mycal(2,3)
_, _, mulrslt, _ = mycal(2,3) # 병렬할당
mulrslt
-
의문: 왜 튜플만 괄호를 생략할 수 있지?
-
내망상
- 튜플을 먼저 만들고, 괄호를 생략하는 문법을 추가한것은 아닐것임
- 원래 괄호없이 컴마만 대충찍어서 선언가능한 아주간단한 타입의 벡터형을 만들고 싶었을 것임.
- 왜? 괄호없는 벡터를 만들고 + 언패킹을 사용하면 여러가지 구문들이 엄청나게 간단해짐.
- 컴마컴마로 선언하는 벡터는 한 두번 쓰고 버리는 경우가 많으며 대부분 이름도 필요없음 $\to$ 원소에 접근해서 sorting하여 순서를 바꾸고 싶다던가 원소를 추가할 이유가 없음 $\to$ 비싼 가변형으로 만들 이유가 없다는 것..
- 우리가 필요한것: 데이터가 벡터의 형태로 모여있기만 하면 된다!
-
다른사람들 의견 (컴공과 인터뷰)
- 튜플 + 언패킹에 충격 $\to$ 파이썬 편하더라..
-
스트라이딩 [start:stop:step]
lst = list('abcdefgh')
lst
lst[0:8:2]
-
생략
lst[::2]
lst[0::2]
lst[:8:2]
-
예제: 짝수/홀수 원소 추출
lst
lst[::2] # 1,3,5,7, ...
lst[1::2] # 2,4,6,8, ...
-
step = -1 이면?
lst
lst[::-1]
- reverse와 같은 기능
(reverse)와 비교
관찰1: reverse 메소드는 리스트 자체를 변화시킴
lst = list('abcdefgh')
lst
lst.reverse() #리버스는
lst
관찰2: [::-1]는 리스트는 변화시키지 않음
lst = list('abcdefgh')
lst
lst[::-1]
lst
-
사실 -step은 쓰는 것이 조금 까다롭다.
(예제) 처음과 끝을 생략하지 않고 아래와 동일한 효과를 주는 코드를 만들어 보자.
lst = list('abcdefgh')
lst[::-1]
(풀이)
결국 lst[?:?:-1]의 꼴에서 적당히 ?의 값을 채우면 된다.
lst[-1::-1] # 일단 첫 시작은 제일 마지막 원소
lst[-1:0:-1] # 앗 마지막 인덱스는 포함 안되는거였지?
lst[-1:-1:-1] # 앗 마지막 인덱스는 포함 안되는거였지?
잠깐 인덱스를 생각해보자.
a | b | c | d | e | f | g | h |
---|---|---|---|---|---|---|---|
0 | 1 | 2 | 3 | 4 | 5 | 6 | 7 |
-8 | -7 | -6 | -5 | -4 | -3 | -2 | -1 |
lst[-1:-9:-1] # 아..
(예제)
lst[2::2]
lst[-2::-2]
lst[-2:2:2]
lst[2:2:2]
lst[2:2:-2]
결론: -step을 자주 쓰진 말자?
-
예제: 제곱수중에서 12로 나누어 떨어지는 수만 원소로 가지는 리스트를 만들고 싶다.
- 제곱수: 1,4,9,16,25,36, ...
- 12로 나누어 떨어지는 수: 36, ...
(예비학습)
12 % 4 # %는 나머지를 계산하는 연산자, 12를 4로 나누면 나머지가 0
12 % 5 # %는 나머지를 계산하는 연산자, 12를 5로 나누면 나머지가 2
(풀이1)
lst = []
for i in range(1,101):
if (i**2 % 12 == 0):
lst.append(i**2)
lst
(풀이2)
[i**2 for i in range(1,101) if (i**2 % 12 == 0)]
-
홀수/짝수를 판별하는 함수 만들기 1
def test(a):
if a % 2 ==0:
return 'even'
else:
return 'odd'
test(1)
test(2)
test(3)
test(4)
[test(a) for a in range(1,11)]
-
홀수/짝수를 판별하는 함수 만들기 2
def test(a):
return 'even' if a%2 ==0 else 'odd'
test(3)
[test(a) for a in range(1,11)]
-
0차원 자료형은 len함수가 동작하지 않음
a=1
len(a)
a=True
len(a)
a=3.14
len(a)
-
1차원 자료형은 len함수가 동작
a='guebin'
len(a)
a=[1,2,3,4,5,6]
len(a)
a=1,2,3,4,5,6
len(a)
a=range(10)
len(a)
-
길이가 1인 1차원 자료형과 0차원 자료형은 다른것임
a='g'
len(a)
a=[1]
len(a)
a=(1,)
len(a)
a=range(1)
len(a)
-
길이가 0인 1차원 자료형도 존재함
a=''
len(a)
a=[]
len(a)
a=()
len(a)
a=range(0)
len(a)
-
str, list, tuple은 모두 시퀀스형이라는 공통점이 있다. $\to$ 원소의 위치번호로 인덱싱이 가능
lst = [1,2,3,4]
lst[0] # 위치번호=0
lst[-1] # 위치번호=-1
-
str, list, tuple은 차이점도 존재함. 잠깐 정리해보자.
시퀀스형의 카테고리
- 컨테니어형: list, tuple
- 균일형: str
- 가변형: list
- 불변형: tuple, str
표로 정리하면
컨테니어형 | 균일형 | |
---|---|---|
가변형 | list | . |
불변형 | tuple | str |
-
시퀀스형이 아닌 1차원 자료형도 있을까? 원소의 위치번호로 인덱싱이 불가능한 자료형
-
왜 이런게 필요할까?
- 벡터에서 원소를 뽑는것은 정보의 모임에서 정보를 검색하는 것과 같다.
- 정보를
순서
대로 나열한뒤에 그순서
를 이용하여 검색하는 방법은 유용하다. - 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키워드
를 기억해서 그키워드
를 바탕으로 정보에 접근하는 방법이 유용할 수 있다.
카카오톡 대화내용검색
(상황1) 오늘아침
에 와이프가 뭔가
를 카톡으로 부탁했었음. 그런데 그 뭔가
가 기억안남.
(상황2) 개강전에
동료교수와 함께 저녁약속
을 카톡으로 잡았었음. 그런데 그게 언제인지 기억안남.
(상황3) 오늘아침
동료교수와 함께 점심약속
을 카톡으로 잡았었음. 그런데 그 장소가 기억나지 않음.
-
순서대로 정리된 자료를 검색할때는 시퀀스형이 유리하다. 그런데 키워드로 검색하고 싶을 경우는 딕셔너리 타입이 유리하다.
-
방법1
score={'guebin':49, 'iu':80}
score
type(score)
-
방법2
score=dict(guebin=49, iu=80)
score
type(score)
-
방법3
_lst = [['guebin',49],['iu',80]]
_lst
dict(_lst)
-
방법4
_tpl = ('guebin',49), ('iu',80)
_tpl
dict(_tpl)
score = {'guebin':49, 'iu':80}
score
guebin의 점수를 추출하고 싶다면?
score[0] # 이렇게 뽑는것이 아니고!
score['guebin']
-
리스트로 저장했다면?
score=[['guebin',49],['iu',80]]
score
guebin의 점수를 추출하고 싶다면?
(방법1)
score[0][1] # guebin의 점수를 출력하란 의미
(방법2)
_keys = [score[i][0] for i in range(len(score))] # 리스트컴프리헨션
_keys
[score[i][1] for i in range(len(score)) if score[i][0] =='guebin' ]
- 어지럽죠?
score={'guebin':49, 'iu':80}
score
-
원소에 접근
score['guebin']
-
추가
score['hynn'] = 99 # 추가
score
-
변경
score['iu'] = 99 # 변경
score
-
삭제
(방법1)
score={'guebin':49, 'iu':80, 'hynn':99}
del score['guebin']
score
(방법2)
score={'guebin':49, 'iu':80, 'hynn':99}
score.pop('guebin')
score
-
참고로 리스트였다면 이러한 삭제작업역시 비효율적이었을 것임
score = [['guebin',49],['iu',80],['hynn',99]]
score
score = [[key,val] for key,val in score if key != 'guebin']
score
(숙제) 길이가 4인 dictionary를 생성
- len 함수를 이용하여 길이를 측정
- key를 이용하여 각 원소에 접근하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