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7wk: 측도론의 중요이론들 (2)

Author

최규빈

Published

October 24, 2024

1. 강의영상

2. 집합함수

A. 집합함수의 성질

# 정의: \(\Omega\)의 부분집합들의 모임 \({\cal A}\) 에서 정의된 집합함수 \(\tilde{m}: {\cal A}\to [0,\infty]\)에 대하여, additivity, subadditivity, \(\sigma\)-additivity, \(\sigma\)-subadditivity 가 의미하는 바를 살펴보자. 각 정의는 아래에 서술되어 있다. 두가지 버전을 같이 썼으니 취향껏 기억하자. 또한 논의를 간단하게 하기 위해서 아래의 모든 정의에서 집합열

\[A_1,A_2,A_3,\cdots\]

은 서로소가 아닌 집합열,

\[B_1,B_2,B_2,\cdots\]

는 서로소인 집합열을 의미하도록 기호로를 설정하였으니 유의하자.

\(\tilde{m}\) is additive on \({\cal A}\)

\({\cal A}\subset 2^\Omega\) 에서의 집합함수 \(\tilde{m}:{\cal A} \to [0,\infty]\)을 고려하자. “집함함수 \(\tilde{m}\)\({\cal A}\) 에서 additive 하다”는 것은 서로소인 임의의 집합열 \(\{B_i\}\) 에 대하여 아래가 성립한다는 의미이다.

\[\tilde{m}\left(\biguplus_{i=1}^{n} B_{i}\right)=\sum_{i=1}^{n}\tilde{m}(B_i)\] 여기에서 \(\tilde{m}(\star)\) 와 같은 표현이 가능하다는 것은 \(\star \in {\cal A}\) 임을 암시한다.

\(\tilde{m}\) is additive on \({\cal A}\)

\({\cal A}\subset 2^\Omega\) 에서의 집합함수 \(\tilde{m}:{\cal A} \to [0,\infty]\)을 고려하자. “집함함수 \(\tilde{m}\)\({\cal A}\) 에서 additive 하다”는 것은 아래가 성립한다는 의미이다.

\[\text{(1)} B_1,\dots, B_n \in {\cal A} ~~\text{(2)}\biguplus_{i=1}^{n}B_i \in {\cal A}~ \Longrightarrow ~ \tilde{m}\left(\biguplus_{i=1}^{n} B_{i}\right)=\sum_{i=1}^{n}\tilde{m}(B_i)\]

단, \(B_1,B_2,\cdots, B_n\) 는 서로소인 집합열이다.

\(\tilde{m}\) is \(\sigma\)-additive on \({\cal A}\)

\({\cal A}\subset 2^\Omega\) 에서의 집합함수 \(\tilde{m}:{\cal A} \to [0,\infty]\)을 고려하자. “집함함수 \(\tilde{m}\)\({\cal A}\) 에서 \(\sigma\)-additive 하다”는 것은 서로소인 임의의 집합열 \(\{B_i\}\) 에 대하여 아래가 성립한다는 의미이다.

\[\tilde{m}\left(\biguplus_{i=1}^{\infty} B_{i}\right)=\sum_{i=1}^{\infty}\tilde{m}(B_i)\] 여기에서 \(\tilde{m}(\star)\) 와 같은 표현이 가능하다는 것은 \(\star \in {\cal A}\) 임을 암시한다.

\(\tilde{m}\) is \(\sigma\)-additive on \({\cal A}\)

\({\cal A}\subset 2^\Omega\) 에서의 집합함수 \(\tilde{m}:{\cal A} \to [0,\infty]\)을 고려하자. “집함함수 \(\tilde{m}\)\({\cal A}\) 에서 \(\sigma\)-additive 하다”는 것은 아래가 성립한다는 의미이다.

\[\text{(1)} B_1,B_2,\cdots \in {\cal A} ~~\text{(2)}\biguplus_{i=1}^{\infty}B_i \in {\cal A}~ \Longrightarrow ~ \tilde{m}\left(\biguplus_{i=1}^{\infty} B_{i}\right)=\sum_{i=1}^{\infty}\tilde{m}(B_i)\]

단, \(B_1,B_2,\cdots\) 는 서로소인 집합열이다.

\(\tilde{m}\) is subadditive on \({\cal A}\)

\({\cal A}\subset 2^\Omega\) 에서의 집합함수 \(\tilde{m}:{\cal A} \to [0,\infty]\)을 고려하자. “집함함수 \(\tilde{m}\)\({\cal A}\) 에서 subadditive 하다”는 것은 \(A \subset \cup_{i=1}^{n}A_i\) 를 만족하는 임의의 \(A,\{A_i\}\) 에 대하여 아래가 성립한다는 의미이다.

\[\tilde{m}\left(A\right)\leq\sum_{i=1}^{n}\tilde{m}(A_i)\] 여기에서 \(\tilde{m}(\star)\) 와 같은 표현이 가능하다는 것은 \(\star \in {\cal A}\) 임을 암시한다.


만약에 \({\cal A}\subset 2^\Omega\) 가 시그마필드이고 \(m:{\cal A} \to [0,\infty]\)이 메저라면, “\(m\)\({\cal A}\) 에서 subadditive 하다”는 것은 임의의 집합열 \(\{A_i\}\)에 대하여 단순히 아래가 성립한다는 의미이다.

\[m\left(\bigcup_{i=1}^{n}A_i\right)\leq\sum_{i=1}^{n}m(A_i)\] 여기에서도 \(m(\star)\) 와 같은 표현이 가능하다는 것은 \(\star \in {\cal A}\) 임을 암시한다.

\(\tilde{m}\) is subadditive on \({\cal A}\)

\({\cal A}\subset 2^\Omega\) 에서의 집합함수 \(\tilde{m}:{\cal A} \to [0,\infty]\)을 고려하자. “집함함수 \(\tilde{m}\)\({\cal A}\) 에서 subadditive 하다”는 것은 아래가 성립한다는 의미이다.

\[\text{(1)} A, A_1,\dots, A_n \in {\cal A} ~~\text{(2)}A \subset \bigcup_{i=1}^{n}A_i ~ \Longrightarrow ~ \tilde{m}\left(A\right)\leq\sum_{i=1}^{n}\tilde{m}(A_i)\]


만약에 \({\cal A}\subset 2^\Omega\) 가 시그마필드이고 \(m:{\cal A} \to [0,\infty]\)이 메저라면, “\(m\)\({\cal A}\) 에서 subadditive 하다”는 것은 아래가 성립한다는 의미이다.

\[A_1,\dots, A_n \in {\cal A}~ \Longrightarrow m\left(\bigcup_{i=1}^{n}A_i\right)\leq\sum_{i=1}^{n}m(A_i)\]

\(\tilde{m}\) is \(\sigma\)-subadditive on \({\cal A}\)

\({\cal A}\subset 2^\Omega\) 에서의 집합함수 \(\tilde{m}:{\cal A} \to [0,\infty]\)을 고려하자. “집함함수 \(\tilde{m}\)\({\cal A}\) 에서 \(\sigma\)-subadditive 하다”는 것은 \(A \subset \cup_{i=1}^{\infty}A_i\) 를 만족하는 임의의 \(A,\{A_i\}\) 에 대하여 아래가 성립한다는 의미이다.

\[\tilde{m}\left(A\right)\leq\sum_{i=1}^{\infty}\tilde{m}(A_i)\] 여기에서 \(\tilde{m}(\star)\) 와 같은 표현이 가능하다는 것은 \(\star \in {\cal A}\) 임을 암시한다.


만약에 \({\cal A}\subset 2^\Omega\) 가 시그마필드이고 \(m:{\cal A} \to [0,\infty]\)이 메저라면, “\(m\)\({\cal A}\) 에서 \(\sigma\)-subadditive 하다”는 것은 임의의 집합열 \(\{A_i\}\)에 대하여 단순히 아래가 성립한다는 의미이다.

\[m\left(\bigcup_{i=1}^{\infty}A_i\right)\leq\sum_{i=1}^{\infty}m(A_i)\] 여기에서도 \(m(\star)\) 와 같은 표현이 가능하다는 것은 \(\star \in {\cal A}\) 임을 암시한다.

\(\tilde{m}\) is \(\sigma\)-subadditive on \({\cal A}\)

\({\cal A}\subset 2^\Omega\) 에서의 집합함수 \(\tilde{m}:{\cal A} \to [0,\infty]\)을 고려하자. “집함함수 \(\tilde{m}\)\({\cal A}\) 에서 \(\sigma\)-subadditive 하다”는 것은 아래가 성립한다는 의미이다.

\[\text{(1)} A, A_1, A_2 \cdots \in {\cal A} ~~\text{(2)}A \subset \bigcup_{i=1}^{\infty}A_i ~ \Longrightarrow ~ \tilde{m}\left(A\right)\leq\sum_{i=1}^{\infty}\tilde{m}(A_i)\]


만약에 \({\cal A}\subset 2^\Omega\) 가 시그마필드이고 \(m:{\cal A} \to [0,\infty]\)이 메저라면, “\(m\)\({\cal A}\) 에서 \(\sigma\)-subadditive 하다”는 것은 아래가 성립한다는 의미이다.

\[A_1,A_2,\cdots \in {\cal A}~ \Longrightarrow m\left(\bigcup_{i=1}^{\infty}A_i\right)\leq\sum_{i=1}^{\infty}m(A_i)\]

#

# 성질\({\cal A} \subset 2^\Omega\), \(\tilde{m}: {\cal A} \to [0,\infty]\) 라고 하자. 함수 \(\tilde{m}\)에 대하여 체크해볼만한 성질들이 있다.

  1. \(\sigma\)-additivity \(\Rightarrow\) additivity // \(\sigma\)-subadditivity \(\Rightarrow\) subadditivity
  2. \(\Omega\)가 유한집합일 경우: \(\sigma\)-additivity \(\Leftrightarrow\) additivity // \(\sigma\)-subadditivity \(\Leftrightarrow\) subadditivity
  3. \({\cal A}\)가 세미링: additivity \(\Rightarrow\) monotonicity1
  4. \({\cal A}\)가 세미링: additivity \(\Rightarrow\) sub-additivity // \(\sigma\)-additivity \(\Rightarrow\) \(\sigma\)-subadditivity
  • 1 \(A \subset B \Rightarrow \tilde{m}(A)\leq \tilde{m}(B)\)

  • 3,4는 그냥 외우세요

    #

    B. 측도, 유한측도, 확률

    # (간단한) 정의 – 측도는 정의역이 시그마필드이고 \(\sigma\)-additivity 와 \(m(\emptyset)=0\) 를 만족하는 집합함수 \(m\) 이다.

    # (간단한) 정의\(m(\Omega)=1\) 인 측도를 확률측도라고 하고, 간단히 확률이라고 줄여부르기도 한다.

    # (간단한) 정의\(m(\Omega)<\infty\) 인 측도를 유한측도라고 한다.

    - 따라서 확률측도는 유한측도이다. 정리하면

    \[\text{prob-msr $\Rightarrow$ finite-msr $\Rightarrow$ msr}\]

    이다.

    - 르벡메저는 유한측도가 아니다.

    C. 시그마유한측도

    # 정의\((\Omega,{\cal F}, m)\) 을 측도공간이라고 하자. 아래가 성립한다면

    \[\text{$\exists~ \Omega_1,\Omega_2, \dots \in {\cal F}$ such that (1) $\cup_{i=1}^{\infty}\Omega_i=\Omega$ and (2) $\forall n \in \mathbb{N}: m(\Omega_n)< \infty$}\]

    \(m\)을 시그마유한측도라고 한다.

    #

    # 정의 – 공간 \((\Omega,{\cal A})\) 를 상상하자. 여기에서 \({\cal A}\)\(\Omega\)에 대한 세미링이다. 만약에 어떠한 집합함수 \(\tilde{m}: {\cal A} \to [0,\infty]\) with \(\tilde{m}(\emptyset) =0\) 이 아래를 만족한다면

    \[\text{$\exists~ \Omega_1,\Omega_2, \dots \in {\cal F}$ such that (1) $\cup_{i=1}^{\infty}\Omega_i=\Omega$ and (2) $\forall n \in \mathbb{N}: \tilde{m}(\Omega_n)< \infty$}\]

    \(\tilde{m}\)\({\cal A}\) 에서 시그마유한하다고 표현한다.

    #

    # 예제1 – 측도공간 \((\mathbb{R}, {\cal R}, \lambda)\) 를 고려하자. 여기에서 \(\lambda\) 는 르벡메저 (즉 길이를 재는 함수), \({\cal R}\) 은 보렐시그마필드 (즉 실수의 부분집합중 길이를 무모순으로 잴 수 있는 집합들의 모임) 이다. 아래가 성립하므로

    \[\lambda(\mathbb{R})=\infty\]

    르벡메저는 유한측도가 아니다. 그렇지만

    • \(\Omega_1 = [-1,1]\)
    • \(\Omega_2 = [-2,2] - \Omega_1\)
    • \(\Omega_3 = [-3,3] - \Omega_2 -\Omega_1\)
    • \(\dots\)

    와 같이 설정한다면,

    \[\forall n \in \mathbb{N}: \lambda(\Omega_n) = 2 <\infty\]

    가 성립하고

    \[\cup_{i=1}^{\infty}\Omega_i = \Omega = \mathbb{R}\]

    이므로 르벡메저는 시그마유한측도이다.

    #

    Note

    시그마유한측도의 뉘앙스는 “전체 집합을 유한한 값으로 나타낼 수는 없을지라도, 전체집합을 쪼개서 (비록 무한번 쪼개는 한이 있더라도), 쪼갠것들은 유한한 값으로 나타낼 수 있는 방법이 최소한 하나는 존재한다.” 의 뉘앙스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시그마유한측도의 정의에서 집합열 \(\Omega_1,\Omega_2,\dots\) 를 무한집합열로 잡을 이유는 굳이 없다. (수 틀리면 무한번 쪼개겠다는 것이지 꼭 무한번 쪼개야 할 이유는 없으니까. 유한번 쪼개서 만들 수 있다면 오히려 좋음!)

    # 예제1의 다른풀이예제1에서 \(\Omega_1,\Omega_2,\dots\)을 아래와 같이 설정해도 된다.

    • \(\Omega_1 = [-1,1]\)
    • \(\Omega_2 = [-2,2]\)
    • \(\Omega_3 = [-3,3]\)
    • \(\dots\)

    그래도

    • \(\forall n \in \mathbb{N}: \lambda(\Omega_n) = 2n <\infty\)
    • \(\cup_{i=1}^{\infty}\Omega_i = \Omega = \mathbb{R}\)

    이 성립하기 때문이다.

    #

    # 보충학습\(\forall n \in \mathbb{N}: \lambda(\Omega_n) = 2n <\infty\) 이 이상하다면??

    임의의 자연수 \(n\)에 대하여 \(\frac{1}{n}\)는 양수이다. 즉

    \[\forall n \in \mathbb{N}: \frac{1}{n} > 0\]

    이다. 여기에서 \(\mathbb{N}\)은 2주차에서 언급한것처럼 \(\{\infty\}\) 를 포함하지 않는다. 한편 \(\frac{1}{n}\)은 아래가 성립한다.

    \[\lim_{n\to \infty} \frac{1}{n} = 0\]

    정리하면 아래가 성립한다.

    1. \(\forall n \in \mathbb{N}: \frac{1}{n} > 0\)
    2. \(\lim_{n\to \infty} \frac{1}{n} = 0\)

    여기에서 1에 대해 이해할때는 \(n \neq \infty\) 라고 생각하지만 2는 마치 \(n=\infty\) 를 대입한듯한 느낌을 줘서 매우 헷갈릴 수 있다. (그렇지만 우리는 헷갈리면 안되죠? 극한과 함수값은 다른거에요)

    #

    - 유한측도이면 시그마유한측도이다. (\(\Omega_1=\Omega\)로 잡으면 된다) 따라서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text{prob-msr $\Rightarrow$ finite-msr $\Rightarrow$ $\sigma$-finite msr $\Rightarrow$ msr}\]

    3. 확장이론

    A. 확장이론1

    # 이론 (카라테오도리의 유산, 확률버전)\({\cal A} \subset 2^{\Omega}\)\(\Omega\)에 대한 세미링이라고 하자. \({\cal A}\) 에서 확률인 듯 확률 아닌 집합함수 \(\tilde{P}:{\cal A} \to [0,1]\) with (1) \(\tilde{P}(\emptyset)=0\) and (2) \(\tilde{P}(\Omega)=1\) 이 아래의 조건을 만족한다고 가정하자.

    1. additive on \({\cal A}\)
    2. \(\sigma\)-subadditive on \({\cal A}\)

    확률인 듯 확률 아닌 함수 \(\tilde{P}\)\(\sigma({\cal A})\)에서의 확률 \(\mathbb{P}\) 로 확장할 수 있다. 그리고 이 확장은 유일하다.

    #

    # 이론 (카라테오도리의 유산, 시그마유한측도버전)\({\cal A} \subset 2^{\Omega}\)\(\Omega\)에 대한 세미링이라고 하자. \({\cal A}\) 에서 시그마유한측도인 듯 시그마유한측도 아닌 집합함수 \(\tilde{m}:{\cal A} \to [0,\infty]\) with (1) \(\tilde{m}(\emptyset)=0\) and (2) \(\text{$\tilde{m}$ is $\sigma$-finite on ${\cal A}$.}\) 이 아래의 조건을 만족한다고 가정하자.

    1. additive on \({\cal A}\)
    2. \(\sigma\)-subadditive on \({\cal A}\)

    시그마유한측도인 듯 시그마유한측도 아닌 함수 \(\tilde{m}\)\(\sigma({\cal A})\)에서의 \(\sigma\)-유한측도로 확장될 수 있다. 그리고 이 확장은 유일하다.

    #

    Warning

    이 이론은 확률인 듯 확률 아닌 함수, 유한측도인 듯 유한측도 아닌 함수, 시그마유한측도인 듯 시그마유한측도 아닌 함수에는 성립하지만 측도인 듯 측도 아닌함수에 대해서는 성립하지 않음.

    # 예제1

    \(\Omega=\{1,2,3,4\}\)이라고 하자. 내가 관심있는 집합의 모음 (=내가 확률을 정의하고 싶은 이벤트들의 모음) 은 아래와 같다.

    \[{\cal A} = \{\emptyset, \{1\},\{2\},\{3,4\},\Omega\}\]

    이러한 집합에서 아래와 같은 함수를 정의하자.

    • \(\tilde{P}(\emptyset) = 0\)
    • \(\tilde{P}(\{1\}) = 1/4\)
    • \(\tilde{P}(\{2\}) = 1/2\)
    • \(\tilde{P}(\{3,4\}) = 1/4\)
    • \(\tilde{P}(\Omega) = 1\)

    아쉽게도 \({\cal A}\)는 시그마필드의 정의를 만족하지 않으므로, 위와 같은 함수 \(\tilde{P}\)를 확률(=확률측도)이라고 주장할 수 없다.2 그렇다고 해서 \(\sigma({\cal A})\)를 구한 다음 그 위에서 확률측도를 정의하는건 너무 귀찮은 일이다. 어쩌면 좋을까?

  • 2 그렇지만 사실 딱봐도 확률 같은걸? 이 정도만 정의하면 \(\sigma({\cal A})\) 에서의 모든 사건들은 알아서 센스있게 잘 정의될 것 같은걸?

  • (풀이)

    \({\cal A}\)는 세미링이고 \(\tilde{P}\)\({\cal A}\)에서 (1) additivity (2) \(\sigma\)-subadditivity 를 만족한다.

    add 체크~

    우선 add를 체크하기 위해서 아래를 만족하는 집합 \(A, A_1, A_2, \dots, A_n \in {\cal A}\) 가 있는지 살펴본다.

    \[A =\biguplus_{i=1}^{n}A_i\]

    이러한 조건을 만족하는 집합은

    • \(\emptyset = \emptyset \uplus \emptyset\)
    • \(\{1\} = \{1\} \uplus \emptyset\)
    • \(\{2\} = \{2\} \uplus \emptyset\)
    • \(\{3,4\} = \{3,4\} \uplus \emptyset\)
    • \(\Omega = \{1\} \uplus \{2\} \uplus \{3,4\}\)
    • \(\dots\)

    들이 있다. 공집합이 포함된 경우를 제외하면 아래의 경우만 남는다.

    \[\Omega = \{1\} \uplus \{2\} \uplus \{3,4\}\]

    따라서 위의 case에 대한 additivity를 체크하기만 하면 된다. 양변에 \(\tilde{P}\)를 취하면

    \[1 = \tilde{P}(\{1\})+ \tilde{P}(\{2\}) + \tilde{P}(\{3,4\})=\frac{1}{4}+\frac{1}{2}+\frac{1}{4}\]

    이 되므로 \(\tilde{P}\)\({\cal A}\) 에서 additivity를 만족한다.

    \(\sigma\)-subadd 체크~

    방법1

    \({\cal A}\)의 cardinality는 finite 하므로 \(\sigma\)-subadd 를 체크할 필요 없이 subadd 만 체크하면 된다. 그런데 세미링에서 add 는 subadd 를 imply 하므로 체크되었다.

    방법1

    \({\cal A}\)의 cardinality는 finite 하므로 add 가 \(\sigma\)-add 를 imply 한다. 그런데 세미링에서 \(\sigma\)-add 는 \(\sigma\)-subadd 를 imply 하므로 체크되었다.

    따라서 \(\big(\Omega,{\cal A},\tilde{P}\big)\) 를 확장하여 measure space \(\big(\Omega,\sigma({\cal A}),\mathbb{P}\big)\) 로 만들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확장은 유일하다. 즉 아래가 성립한다.

    \[ \text{$\exists! \mathbb{P}$ such that (1) $\mathbb{P}$ is prob-msr on $\big(\Omega, \sigma({\cal A})\big)$ (2) $\forall A \in {\cal A}: \mathbb{P}(A) = \tilde{P}(A)$} \]

    따라서 \({\cal A}=\{\emptyset, \{1\}, \{2\}, \{3,4\}, \Omega\}\) 에서의 집합함수

    • \(\tilde{P}(\emptyset) = 0\)
    • \(\tilde{P}(\{1\}) = 1/4\)
    • \(\tilde{P}(\{2\}) = 1/2\)
    • \(\tilde{P}(\{3,4\}) = 1/4\)
    • \(\tilde{P}(\Omega) = 1\)

    만 정의해도, 확률을 정의한 셈 칠 수 있다!

    #

    # 예제2

    \(\Omega=\{1,2,3,4\}\)이라고 하고 \({\cal A} = \{\emptyset, \{1\},\{2\}, \{3,4\}, \Omega\}\) 라고 하자. 그리고 아래와 같은 \(\sigma({\cal A})\)를 다시 상상하자.

    \[\sigma({\cal A}) = \big\{\emptyset, \{1\}, \{2\}, \{1,2\}, \{3,4\}, \{1,3,4\}, \{2,3,4\}, \Omega \big\}\]

    위의 시그마필드에서 확률을 예제1과 다른 방식으로 정의할 수 도 있다. 예를들면 아래와 같은 방식으로 정의가능하다.

    - \(\mathbb{P}_1\) \(\tilde{P}_1\)
    \(\emptyset\) \(0\) \(0\)
    \(\{1\}\) \(\frac{1}{3}\) \(\frac{1}{3}\)
    \(\{2\}\) \(\frac{1}{3}\) \(\frac{1}{3}\)
    \(\{3,4\}\) \(\frac{1}{3}\) \(\frac{1}{3}\)
    \(\Omega\) \(1\) \(1\)
    \(-\) \(-\) \(-\)
    \(\{1,2\}\) \(\frac{2}{3}\) None
    \(\{1,3,4\}\) \(\frac{2}{3}\) None
    \(\{2,3,4\}\) \(\frac{2}{3}\) None

    또한 아래와 같은 방식도 가능하다.

    - \(\mathbb{P}_2\) \(\tilde{P}_2\)
    \(\emptyset\) \(0\) \(0\)
    \(\{1\}\) \(0\) \(0\)
    \(\{2\}\) \(0\) \(0\)
    \(\{3,4\}\) \(1\) \(1\)
    \(\Omega\) \(1\) \(1\)
    \(-\) \(-\) \(-\)
    \(\{1,2\}\) \(0\) None
    \(\{1,3,4\}\) \(1\) None
    \(\{2,3,4\}\) \(1\) None

    어떠한 방식으로 정의하든 \({\cal A}\) 에서 확률인 듯 확률 아닌 \(\tilde{P}_1,\tilde{P}_2\) 를 잘 정의하기만 \(\sigma({\cal A})\) 에서의 확률 \(\mathbb{P}\) 로 적절하게 확장할 수 있다. 심지어 이러한 확장은 유일하다.

    #

    # 예제3

    \(\Omega = \{a,b,c,d\}\) 의 부분집합들의 모임

    \[{\cal A}=\big\{\{a,b,c\},\{b,c,d\}\big\}\]

    를 고려하자. 확률인 듯 확률 아닌 함수 \(\tilde{P}: {\cal A} \to [0,1]\) 을 아래와 같이 정의하자.

    • \(\tilde{P}(\{a,b,c\}) = \frac{3}{4}\)
    • \(\tilde{P}(\{b,c,d\}) = \frac{3}{4}\)

    \(\tilde{P}\) 를 확장하여 확률측도의 정의를 만족하는 적당한 함수 \(\mathbb{P}:\sigma({\cal A}) \to [0,1]\) 를 유일하게 만들 수 있는가?

    (풀이)

    \({\cal A}\)는 세미링이 아니므로 확장정리를 쓸 수 없다. 그렇지만 \({\cal A}\)를 변형하여 아래를 만든다면

    \[\bar{\cal A} = \big\{\{a,b,c\},\{b,c,d\}, \emptyset, \Omega, \{b,c\}, \{a\}, \{d\}\big\}\]

    \(\bar {\cal A}\) 는 세미링이 된다. 이제 확률 인듯 확률 아닌 함수 \(\bar{P}: \bar{\cal A} \to [0,1]\) 를 고려하자.

    • \(\tilde{P}(\{a,b,c\}) = \bar{P}(\{a,b,c\}) = \frac{3}{4}\)
    • \(\tilde{P}(\{b,c,d\}) = \bar{P}(\{b,c,d\}) = \frac{3}{4}\)
    • \(\bar{P}(\emptyset) = 0\)
    • \(\bar{P}(\Omega) = 1\)
    • \(\bar{P}(\{a\}) = \frac{1}{4}\)
    • \(\bar{P}(\{d\}) = \frac{1}{4}\)
    • \(\bar{P}(\{b,c\}) = \frac{1}{2}\)

    \(\bar{P}\)\(\tilde{P}\)를 확장한 확률인 듯 확률 아닌 함수이다. 즉 \(\bar{P}\)\(\bar{\cal A}\) 에서 (1) additivity (2) \(\sigma\)-subadditivity 를 만족한다.3 따라서 \(\bar{P}\)를 확장하여 \(\sigma(\bar{\cal A})=\sigma({\cal A})\) 에서의 확률 \(\mathbb{P}\)를 만들 수 있으며, 이렇게 만들어진 \(\mathbb{P}\)는 유일하다. 또한 \(\tilde{P}\)를 확장하여 \(\bar{\cal A}\)에서의 확률인 듯 확률 아닌 함수로 확장하는 방법이 \(\bar{P}\)가 유일함을 떠올리면4 \({\cal A}\)에서의 집합함수 \(\tilde{P}\)\(\sigma({\cal A})\)에서의 확률로 업그레이드 하는 방법은 이것이 유일함을 알 수 있다.

  • 3 add 만 체크하면 끝나는거 알죠?

  • 4 \(\bar{P}(\emptyset)\), \(\bar{P}(\Omega)\), \(\bar{P}(\{a\})\), \(\bar{P}(\{d\})\), \(\bar{P}(\{b,c\})\)의 값을 달리 정의할 수 있는 방법이 없잖아요??

  • #

    # 예제4

    \(\Omega=\{1,2,3\}\) 이라고 하고 \({\cal A} = \{\emptyset, \{1,2\},\{2,3\}, \Omega\}\) 라고 하자. 아래와 같은 집합함수 \(\tilde{P}:{\cal A} \to [0,1]\)를 정의하자.

    • \(\tilde{P}(\emptyset) = 0\)
    • \(\tilde{P}(\{1,2\}) = 0\)
    • \(\tilde{P}(\{2,3\}) = 0\)
    • \(\tilde{P}(\Omega) = 1\)

    일단 \({\cal A}\)는 세미링이 아니다. 적당히 \({\cal A}\)를 확장하여 세미링 \(\bar{\cal A}\)를 만든다고 하여도 \(\bar{\cal A}\)에서 add가 성립하지 않을것 같다. 즉 확률인 듯 확률 아닌 함수조차 만들 수 없다. 따라서 이 경우는 확장이 불가능하다.

    #

    # 예제5

    \(\Omega=\{1,2,3,4\}\) 이라고 하고 \({\cal A} = \{\emptyset, \{1,2\},\{2,3\}, \Omega\}\) 라고 하자. 아래와 같은 확률 비슷한 함수 \(\tilde{P}:{\cal A} \to [0,1]\)를 정의하자.

    • \(\tilde{P}(\emptyset) = 0\)
    • \(\tilde{P}(\{1,2\}) = 1/2\)
    • \(\tilde{P}(\{2,3\}) = 1/2\)
    • \(\tilde{P}(\Omega) = 1\)

    이 예제의 경우 위의 예제와 다르게 \(\bar{\cal A}\)에서 add가 성립해보인다. 확장을 시도해보자. 우선 \({\cal A}\)를 적당히 확장하여 세미링을 만든다. \[\bar{\cal A} = \{\emptyset, \{1,2\}, \{2,3\}, \Omega, \{1\}, \{2\}, \{3\}, \{4\}\}\]

    이제 \(\tilde{P}\)를 적절히 확장하여 확률인 듯 확률 아닌 함수 \(\bar{P}: \bar{\cal A} \to [0,1]\) 를 정의해보자. 그런데…

    - \(\bar{P}_1\) \(\bar{P}_2\)
    \(\emptyset\) \(0\) \(0\)
    \(\{1,2\}\) \(1/2\) \(1/2\)
    \(\{2,3\}\) \(1/2\) \(1/2\)
    \(\Omega\) \(1\) \(1\)
    \(-\) \(-\) \(-\)
    \(\{1\}\) \(0\) \(1/2\)
    \(\{2\}\) \(1/2\) \(0\)
    \(\{3\}\) \(0\) \(1/2\)
    \(\{4\}\) \(1/2\) \(0\)

    와 같이 유일하게 \(\bar{P}\)를 정할 수 없다. 이때 위에서 정의된 함수 \(\bar{P}_1\), \(\bar{P}_2\) 는 모두 세미링 \(\bar{\cal A}\) 에서 add하다. 따라서 확률인 듯 확률 아닌 함수 \(\bar{P}_1\), \(\bar{P}_2\) 는 각각 확률 \(\mathbb{P}_1\), \(\mathbb{P}_2\)로 업그레이드 될 수 있다. 요약하면 \(\tilde{P}\)는 확장되어 확률 \(\mathbb{P}_1\) 로 업그레이드 될 수도 있고 \(\mathbb{P}_2\) 로 업그레이드 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단 \(\tilde{P}\) 는 업그레이드는 가능하지만 그 결과가 유일하지 않다고 볼 수 있다.

    #

    # 예제6 – 통계학과라서 행복해

    \(\Omega=\{a,b\}\) 이라고 하고 \({\cal A} = \{\emptyset,\{a\}\}\) 라고 하자. 여기에서 \({\cal A}\) 는 세미링이다. 이때 측도인 듯 측도 아닌 함수 \(\tilde{m}: {\cal A} \to [0,1]\) 를 아래와 같이 정의하자.

    • \(\tilde{m}(\emptyset)=0\)
    • \(\tilde{m}(\{a\})=\frac{1}{2}\)

    이 함수는 \({\cal A}\)에서 add를 만족한다. 함수 \(\tilde{m}\)은 잴 수 있는 공간 \((\Omega,\sigma({\cal A})\big)\)에서의 측도로 확장가능하다. 하지만 유일한 확장이 가능하지는 않다. (시그마유한하지 않아서 그래..)

    - \(\tilde{m}\) \(m_1\) \(m_2\)
    \(\emptyset\) - \(0\) \(0\)
    \(\{a\}\) \(\frac{1}{2}\) \(\frac{1}{2}\) \(\frac{1}{2}\)
    \(-\) \(-\) \(-\) \(-\)
    \(\{b\}\) - \(\frac{1}{2}\) \(1\)
    \(\Omega\) - \(1\) \(\frac{3}{2}\)

    #

    # 예제7 – 르벡메저(\(\star\star\star\))

    \(\Omega=\mathbb{R}\) 이라고 하고

    \[{\cal A} = \big\{(a,b]: -\infty<a<b<\infty \big\} \cup \{\emptyset\}\]

    라고 하자. 여기에서 \({\cal A}\)는 세미링이다. 이때 \(\bar{\cal A}\)에서 시그마유한측도인 듯 시그마유한측도 아닌 함수 \(\tilde{\lambda}: {\cal A} \to [0,1]\), \(\tilde{\lambda}(\emptyset)=0\) 를 아래와 같이 정의하자. \[\tilde{\lambda}((a,b])=b-a\]

    이제 \(\tilde{\lambda}\)\({\cal A}\)에서 (1) additivity (2) \(\sigma\)-additivity 를 만족한다면 \(\tilde{\lambda}\)는 잴 수 있는 공간 \(\big(\Omega, \sigma({\cal A})\big)=(\mathbb{R}, {\cal R})\) 에서의 측도로 업그레이드 되며 이 업그레이드 결과는 유일하다. 그리고 이러한 방식으로 업그레이드된 척도를 르벡척도라고 한다.

    이 예제에서 남은 부분은 \(\tilde{\lambda}\)\({\cal A}\)에서 (1) additivity (2) \(\sigma\)-additivity 를 만족함을 보이는 것이다. 이때 additivity가 성립함은 자명하고, \(\sigma\)-subadditivity가 성립함을 보여야 하는데 이것은 매우 어렵다. 따라서 이 예제에서는 생략하겠다. (안할건 아니고요, 다음에 할거에요..)

    #

    지금까지의 스토리
    1. \(\Omega\)의 모든 부분집합에 대하여 확률을 무모순으로 정의하는 것은 매우 쉬운일인 줄 알았는데 사실은 그렇지 않았다.
    2. 그 이유는 \(\mathbb{R}\)의 모든 부분집합에 길이를 무모순으로 재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3. 우리는 \(\mathbb{R}\)의 모든 부분집합, \(2^\Omega\)에 대하여 길이를 무모순으로 재는 것은 포기하였다. 대신에 그것보다 작은 집합 \({\cal R} \subset 2^{\Omega}\) 보렐시그마필드(=길이를 잴 수 있는 집합들의 모임)에서만 길이를 재는것이 어떨까? 하는 생각을 했다. 여기에서 \({\cal R}\)\[{\cal A}=\big\{(a,b]: -\infty<a<b<\infty \big\} \cup \{\emptyset\}\]를 확장하여 만들 수 있는 가장 작은 시그마필드이다.
    4. 우리의 전략은 \({\cal A}\) 에서 길이인 듯 길이 아닌 함수 \(\tilde{\lambda}\) 를 정의하고 그 함수를 확장하여 메저로 업그레이드 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서 측도론이라는 학문을 공부했다. 공부한결과 카라테오도리의 유산에 의하여 이러한 업그레이드방식이 가능하며, 심지어 그 결과가 유일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B. 확장이론2

    # 이론 (확장이론2,시그마유한측도)확장의 존재성이 보장될때 유일성을 보이는 테크닉

    \(\big(\Omega, \sigma({\cal A}), m\big)\) 가 시그마유한측도공간이라고 하자. 그리고 \({\cal A}\)\(\pi\)-system이라고 하자. 시그마유한측도 \(m: \sigma({\cal A}) \to [0,\infty]\) 의 값은 \(m: {\cal A} \to [0,1]\) 의 값으로 유일하게 결정된다.

    #

    # 이론 (확장이론2,확률측도)확장의 존재성이 보장될때 유일성을 보이는 테크닉

    \(\big(\Omega, \sigma({\cal A}), \mathbb{P}\big)\) 가 확률공간이라고 하자. 그리고 \({\cal A}\)\(\pi\)-system이라고 하자. 확률측도 \(\mathbb{P}: \sigma({\cal A}) \to [0,1]\) 의 값은 \(\mathbb{P}: {\cal A} \to [0,1]\) 의 값으로 유일하게 결정된다.

    #

    Warning

    확장이론1은 “확장의 존재성 & 유일성”을 동시에 보장한다. 그런데 확장이론2는 “유일성”만을 보장한다.

    확장이론1은 “존재성” 보이는 것이 매우 어려운 경우 특히 유용하다. (예를들면 르벡메저의 경우) 확장이론1의 논리전개는 \(\big(\Omega, {\cal A}\big)\) 에서 additivity, sub-additivity 를 체크해야하는 방향으로 흐른다.

    확장이론2는 “존재성” 보장되는 상황에 “유일성”을 보이고자할때 특히 유용하다. 확장이론2는 아래와 같은 논리전개로 써먹을 수 있다.

    • \((\Omega, {\cal P}, \tilde{m})\)을 알고 있을 경우: \(\tilde{m}\)을 확장하여 공간 \(\big(\Omega,\sigma({\cal P})\big)\) 에서 측도 하나를 어떻게는 “설정”해놓고 그 설정값이 유일하다는 식의 주장을 함.
    • \((\Omega, \sigma({\cal P}), m)\)을 알고 있을 경우: 측도 \(m\)의 값을 \({\cal P}\) 에서만 definine 하여 \(\tilde{m}\)을 만든다. 그리고 \(\tilde{m}\)\(m\)으로 유일하게 확장된다고 주장한다.

    # 예제8 – 예제1을 다시 풀자

    \(\Omega=\{1,2,3,4\}\)이라고 하자. 내가 관심있는 집합의 모음 (=내가 확률을 정의하고 싶은 이벤트들의 모음) 은 아래와 같다.

    \[{\cal A} = \{\emptyset, \{1\},\{2\},\{3,4\},\Omega\}\]

    이러한 집합에서 아래와 같은 함수를 정의하자.

    • \(\tilde{P}(\emptyset) = 0\)
    • \(\tilde{P}(\{1\}) = 1/4\)
    • \(\tilde{P}(\{2\}) = 1/2\)
    • \(\tilde{P}(\{3,4\}) = 1/4\)
    • \(\tilde{P}(\Omega) = 1\)

    아쉽게도 \({\cal A}\)는 시그마필드의 정의를 만족하지 않으므로, 위와 같은 함수 \(\tilde{P}\)를 확률(=확률측도)이라고 주장할 수 없다. 그렇다고 해서 \(\sigma({\cal A})\)를 구한 다음 그 위에서 확률측도를 정의하는건 너무 귀찮은 일이다. 어쩌면 좋을까?

    (풀이1) – 확장이론1 적용

    아까 한 풀이.. \({\cal A}\)이 세미링임을 체크하고 \(\tilde{P}\) 가 (1) additive in \({\cal A}\) (2) \(\sigma\)-subadditive on \({\cal A}\) 임을 보임.

    (풀이2) – 확장이론2 적용

    아래표의 오른쪽과 같은 \(\sigma({\cal A})\)에서의 확률측도 \(\mathbb{P}\)를 일단 만들어보자.

    - \(\tilde{P}\) \(\mathbb{P}\)
    \(\emptyset\) \(0\) \(0\)
    \(\{1\}\) \(\frac{1}{4}\) \(\frac{1}{4}\)
    \(\{2\}\) \(\frac{1}{2}\) \(\frac{1}{2}\)
    \(\{3,4\}\) \(\frac{1}{4}\) \(\frac{1}{4}\)
    \(\Omega\) \(1\) \(1\)
    \(-\) \(-\) \(-\)
    \(\{1,2\}\) - \(\frac{3}{4}\)
    \(\{1,3,4\}\) - \(\frac{1}{2}\)
    \(\{2,3,4\}\) - \(\frac{3}{4}\)

    심심풀이로 \(\tilde{P}\)를 확장한 확률측도 \(\mathbb{P}\)를 만들어 봤는데, 이 확률측도는 유일하다. 왜냐하면 \({\cal A}\)가 파이시스템이니까..

    #

    # 예제9

    \(\Omega=\{1,2,3,4\}\) 이라고 하고 \({\cal A} = \{\emptyset, \{1,2\},\{2,3\}, \Omega\}\) 라고 하자. 이제 \(\sigma({\cal A})\) 에서의 확률측도 \(\mathbb{P}_1\)\(\mathbb{P}_2\) 를 고려하자.

    - \(\mathbb{P}_1\) \(\mathbb{P}_2\)
    \(\emptyset\) \(0\) \(0\)
    \(\{1,2\}\) \(\frac{1}{2}\) \(\frac{1}{2}\)
    \(\{2,3\}\) \(\frac{1}{2}\) \(\frac{1}{2}\)
    \(\Omega\) \(1\) \(1\)
    \(-\) \(-\) \(-\)
    \(\{1\}\) \(0\) \(\frac{1}{2}\)
    \(\{2\}\) \(\frac{1}{2}\) \(0\)
    \(\{3\}\) \(0\) \(\frac{1}{2}\)
    \(\{4\}\) \(\frac{1}{2}\) \(0\)
    \(\{1,3\}\) \(0\) \(1\)
    \(\{1,4\}\) \(\frac{1}{2}\) \(\frac{1}{2}\)
    \(\{2,4\}\) \(1\) \(0\)
    \(\{3,4\}\) \(\frac{1}{2}\) \(\frac{1}{2}\)
    \(\{2,3,4\}\) \(1\) \(\frac{1}{2}\)
    \(\{1,3,4\}\) \(\frac{1}{2}\) \(1\)
    \(\{1,2,4\}\) \(1\) \(\frac{1}{2}\)
    \(\{1,2,3\}\) \(\frac{1}{2}\) \(1\)

    여기에서 \(\mathbb{P}_1\)\(\mathbb{P}_2\)는 분명히 \({\cal A}\)에서는 일치하지만, \(\sigma({\cal A})\) 에서는 일치하지 않는다. 즉 \(\big(\Omega, \sigma({\cal A})\big)\) 에서의 모든 확률측도의 값은 \({\cal A}\) 에서의 값으로 유일하게 결정되지는 않는다.

    그 이유는 여기에서 주어진 \({\cal A}\)가 파이시스템이 아니기 때문이다. 따라서 \({\cal A}\)에서의 값은 agree하지만 \((\Omega, \sigma({\cal A}))\)에서 agree하지 않는 서로 다른 확률측도가 존재할 수도 있는 것이다. 만약에 이 예제에서 \({\cal A}\)를 아래와 같이 수정한다면

    \[{\cal A}=\{\emptyset, \{1,2\}, \{2,3\}, \{2\}\}\]

    이번에는 \({\cal A}\)는 파이시스템이 된다. 따라서 이 경우 \((\Omega, \sigma({\cal A}))\)에서의 모든 확률측도는 \({\cal A}\)의 값에 의하여 유일하게 결정된다.

    #

    # 예제10 – 예제3을 다시풀자.

    \(\Omega = \{a,b,c,d\}\) 의 부분집합들의 모임

    \[{\cal A}=\big\{\{a,b,c\},\{b,c,d\}\big\}\]

    를 고려하자. 확률인 듯 확률 아닌 함수 \(\tilde{P}: {\cal A} \to [0,1]\) 을 아래와 같이 정의하자.

    • \(\tilde{P}(\{a,b,c\}) = \frac{3}{4}\)
    • \(\tilde{P}(\{b,c,d\}) = \frac{3}{4}\)

    \(\tilde{P}\) 를 확장하여 확률측도의 정의를 만족하는 적당한 함수 \(\mathbb{P}:\sigma({\cal A}) \to [0,1]\) 를 유일하게 만들 수 있는가?

    (풀이)

    아래와 같은 파이시스템을 고려하자.

    \[{\cal P}=\big\{\emptyset, \{a\},\{b,c\},\{d\}\big\}\]

    여기에서 결정되는 확률측도 \(\mathbb{P}:\sigma({\cal P}) \to [0,1]\) 를 고려하자.

    • \(\mathbb{P}(\{a\})=\mathbb{P}(\{d\})=\frac{1}{4}\)
    • \(\mathbb{P}(\{b,c\})=\frac{1}{2}\)

    주장: (1) \(\sigma({\cal P})=\sigma({\cal A})\) 이다. (2) \(\tilde{P}\)\(\mathbb{P}\)로 유일하게 확장된다.

    여기에서 (1)은 \(\sigma({\cal P} \cup {\cal A})=\sigma({\cal A})\) 이고 \(\sigma({\cal P})=\sigma({\cal P \cup {\cal A}})\) 이므로 당연하다. 이제 (2)를 보이면 된다.

    귀류법: \(\tilde{P}\)\(\mathbb{P}\)가 아닌 다른방식 \(\mathbb{P}'\) 으로 확장되었다고 가정하자. \(\mathbb{P}'\)\(\tilde{P}\) 의 확장이므로 아래가 성립한다.

    • \(\mathbb{P}'(\{a,b,c\})=\frac{3}{4}\)
    • \(\mathbb{P}'(\{b,c,d\})=\frac{3}{4}\)

    \(\mathbb{P}'\)는 확률측도의정의를 만족하므로 아래가 성립한다.

    • \(\mathbb{P}'(\{d\})=\frac{1}{4}\)
    • \(\mathbb{P}'(\{a\})=\frac{1}{4}\)
    • \(\mathbb{P}'(\{b,c\})=\frac{1}{2}\)

    따라서 \(\mathbb{P}'\)\({\cal P}\)에서 \(\mathbb{P}\)와 일치한다. 따라서 \(\mathbb{P}\)\(\mathbb{P}'\)가 다르기 위해서는 파이시스템 \({\cal P}\)에서는 일치하지만, \(\sigma({\cal P})\)에서는 그 값이 다른 측도이어야 하는데 이는 확장이론2에 모순된다.

    #

    # 예제11 – 예제4를 다시풀자

    \(\Omega=\{1,2,3\}\) 이라고 하고 \({\cal A} = \{\emptyset, \{1,2\},\{2,3\}, \Omega\}\) 라고 하자. 아래와 같은 집합함수 \(\tilde{P}:{\cal A} \to [0,1]\)를 정의하자.

    • \(\tilde{P}(\emptyset) = 0\)
    • \(\tilde{P}(\{1,2\}) = 0\)
    • \(\tilde{P}(\{2,3\}) = 0\)
    • \(\tilde{P}(\Omega) = 1\)

    이 측도는 확장불가능 함을 보여라.

    (풀이)

    확장되었다고 하자. 확장된 측도를 \(\mathbb{P}\)라고 하자. \(\mathbb{P}\)\(\tilde{P}\)의 확장이므로 아래가 성립해야 한다.

    • \(\mathbb{P}(\emptyset) = 0\)
    • \(\mathbb{P}(\{1,2\}) = 0\)
    • \(\mathbb{P}(\{2,3\}) = 0\)
    • \(\mathbb{P}(\Omega) = 1\)

    그런데

    \[\mathbb{P}((\{1,2\} \cup \{2,3\}) \leq \mathbb{P}(\{1,2\}) + \mathbb{P}(\{2,3\})\]

    이 성립하지 않으므로 이 측도는 \(\sigma({\cal A})\)에서 subaddtive 하지 않다. 따라서 모순

    #

    # 예제12 – 예제5 다시풀기

    \(\Omega=\{1,2,3,4\}\) 이라고 하고 \({\cal A} = \{\emptyset, \{1,2\},\{2,3\}, \Omega\}\) 라고 하자. 아래와 같은 확률 비슷한 함수 \(\tilde{P}:{\cal A} \to [0,1]\)를 정의하자.

    • \(\tilde{P}(\emptyset) = 0\)
    • \(\tilde{P}(\{1,2\}) = 1/2\)
    • \(\tilde{P}(\{2,3\}) = 1/2\)
    • \(\tilde{P}(\Omega) = 1\)

    \(\tilde{P}\)\(\sigma(A)\)에서의 측도로 유일하게 확장되지 않음을 보여라.

    (풀이)

    아래와 같은 파이시스템을 생각하자.

    \[{\cal P}= \{\emptyset, \{1\}, \{2\}, \{3\}, \{4\} \}\]

    \(\sigma({\cal A})\)에서의 측도 \(\mathbb{P}_1\), \(\mathbb{P}_2\) 를 아래와 같이 설정하자.

    • \(\mathbb{P}_1(\{1\})=\mathbb{P}_1(\{3\})=\frac{1}{2}\), 나머지는 모두 0
    • \(\mathbb{P}_1(\{2\})=\mathbb{P}_1(\{4\})=\frac{1}{2}\), 나머지는 모두 0

    분명히 \(\mathbb{P}_1, \mathbb{P}_2\)\({\cal A}\) 에서는 일치하지만 \(\sigma({\cal A})=\sigma({\cal P})=\sigma({\cal A}\cup {\cal P})\) 에서는 일치하지 않는다.

    #

    # 예제13 – 르벡메져

    어떠한 경로로 인하여 보렐시그마필드 \({\cal R}\) 와 르벡메저 \(\lambda\) 의 존재성을 배웠다고 치자. 그렇다면 measure space \((\mathbb{R}, {\cal R}, \lambda)\) 선언할 수 있다. 관심 있는 집합들의 모임 \({\cal A} = \big\{(a,b):-\infty < a <b < \infty \big\}\)에 대하여 아래와 같은 집합함수 \(\tilde{\lambda}: {\cal A} \to [0,\infty]\) 를 생각하자.

    \[\tilde{\lambda}((a,b)) = b-a\]

    아래의 사실을 체크하자.

    1. \(\forall A \in {\cal A}:~ \lambda(A) = \tilde{\lambda}(A)\) 이다.
    2. \({\cal A}\) 는 파이시스템이다.

    확장이론2에 따라서 \(\tilde{\lambda}\)\(\lambda\) 로 밖에 확장될 수 없다. 이 예제에서 \({\cal A}\) 를 아래중 어떠한 방식으로 정의해도 동일한 논리가 성립한다.

    • \({\cal A}= \big\{[a,b]:-\infty < a <b < \infty \big\}\)
    • \({\cal A}= \big\{[a,b):-\infty < a <b < \infty \big\}\)
    • \({\cal A}= \big\{(a,b]:-\infty < a <b < \infty \big\}\)

    \({\cal A}\)를 정의할때 공집합이 빠져도 된다는 사실도 우리에게 즐거움을 준다. \({\cal A}\)가 파이시스템이면 되었지, 세미링일 필요까진 없으니까..

    #

    Tip

    확률을 정의할 때 엄밀하게 정의한답시고 시그마필드에서 정의하는건 원래 말도 안되는 일이에요. 적당히 세미링이나 파이시스템에서만 정의해도 충분히 엄밀하다 생각하고 넘어갈 수 있습니다. 예를들어 “공평한 동전”이 만드는 확률을 기술하고자 할때

    표본공간 \(\Omega=\{H, T\}\)에서, 앞면이 나올 확률이 \(\mathbb{P}(\{H\})=\frac{1}{2}\)인 동전 던지기 상황을 생각해보자.

    정도로 서술하면 되는 것이지

    표본공간 \(\Omega=\{H, T\}\)를 고려하자. 이때, \({\cal F}=\{\emptyset, \{T\}, \{H\}, \Omega\}\)\(\Omega\)에 대한 시그마 필드라고 하자. 또한, 확률은 \(\mathbb{P}(\emptyset)=0\), \(\mathbb{P}(\{H\})=\frac{1}{2}\), \(\mathbb{P}(\{T\})=\frac{1}{2}\), \(\mathbb{P}(\Omega)=1\)로 정의되는 동전 던지기 상황을 생각해보자.

    와 같이 서술하는건 일반적인 서술방법은 아닙니다. 파이시스템인 \({\cal A}=\{\{H\}\}\) 에서 확률값 \(\mathbb{P}(\{H\})=\frac{1}{2}\) 만을 정의해도, \(\sigma({\cal A}) = {\cal F}\) 에서의 확률값이 자동결정된다는 점을 알고 있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