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8wk-1: 퀴즈5

Author

최규빈

Published

April 24, 2024

Caution
  • 전북대 학생들을 시험당일 학생증을 지참할 것. (출석체크 및 본인확인) 학생증 외에 신분증 여권등도 가능.
  • 부정행위 (카카오톡 채팅을 통한 코드공유, 생성형모델 사용, 대리시험 등) 적발시 F 처리함.
  • 퀴즈 중 지각할 경우 지각사실을 기록함. 하지만 별 다른 감점은 하지 않음.
  • .ipynb 파일 형태로 제출된 답안지만 채점하며 그 외의 형식 (.hwp, .py 등)은 채점하지 않음. 즉 0점 처리함.

1. – 20점

앞으로 읽어도 뒤로 읽어도 동일한 단어이면 true 그렇지 않으면 false를 리턴하는 함수 solution를 구현하라. 아래는 이러한 함수 solution를 사용한 예시이다.

lst1 = ['기러기', '토마토', '스위스', '인도인', '별똥별', '우영우', '파이썬']
lst2 = ['level', 'radar', 'noon', 'deified', 'rotor', 'python']
[solution(l) for l in lst1]
[True, True, True, True, True, True, False]
[solution(l) for l in lst2]
[True, True, True, True, True, False]

(풀이)

solution = lambda x: x[::-1] == x
[solution(l) for l in lst1]
[True, True, True, True, True, True, False]
[solution(l) for l in lst2]
[True, True, True, True, True, False]

2. – 40점

아홉개의 공이있다. 이 가운데 여덟개는 무게가 같고 하나는 남은 하나는 좀 더 무겁다. 우리에게는 저울이 하나 있는데 이 저울로는 왼쪽의 공들이 무거운지 오른쪽의 공들이 무거운지밖에 알아낼 수 없다. 이 저울을 딱 두번만 사용하여 가장 무거운 공을 찾아내는 알고리즘을 solution 함수로 정리하여 제시하라. 공들의 무게는 길이가 9인 리스트로 온다고 가정한다. 출력은 가장 무거운 공이 위치한 index를 리턴하도록 한다.

다음은 solution 함수를 실제로 구현하여 사용한 예시이다.

solution([2,1,1,1,1,1,1,1,1])
0
solution([2,2,5,2,2,2,2,2,2])
2

(풀이)

hint: 공을 세 개씩 세 그룹으로 나누세요

def solution(lst):
    l1,l2,l3 = lst[:3],lst[3:6],lst[6:]
    argmax = 0 
    if sum(l1)>sum(l2): # 0,1,2 중 가장 무거운 공이 있음 
        if l1[0] > l1[1]:
            argmax = 0
        elif l1[0] < l1[1]:
            argmax = 1 
        else: 
            argmax = 2 
    elif sum(l1)<sum(l2): # 3,4,5 중 가장 무거운 공이 있음 
        if l2[0] > l2[1]:
            argmax = 0+3
        elif l2[0] < l2[1]:
            argmax = 1+3 
        else: 
            argmax = 2+3 
    else: # 6,7,8 중 가장 무거운 공이 있음 
        if l3[0] > l3[1]:
            argmax = 0+6
        elif l3[0] < l3[1]:
            argmax = 1+6 
        else: 
            argmax = 2+6
    return argmax 
solution([2,1,1,1,1,1,1,1,1])
0
solution([2,2,5,2,2,2,2,2,2])
2

5. – 40점

카카오 채용연계형 인턴쉽 기출문제

네오와 프로도가 숫자놀이를 하고 있습니다. 네오가 프로도에게 숫자를 건넬 때 일부 자릿수를 영단어로 바꾼 카드를 건네주면 프로도는 원래 숫자를 찾는 게임입니다. 다음은 숫자의 일부 자릿수를 영단어로 바꾸는 예시입니다.

1478 --> "one4seveneight"
234567 --> "23four5six7"
10203 --> "1zerotwozero3"

이렇게 숫자의 일부 자릿수가 영단어로 바뀌어졌거나, 혹은 바뀌지 않고 그대로인 문자열 s가 매개변수로 주어집니다. s가 의미하는 원래 숫자를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참고로 각 숫자에 대응되는 영단어는 다음 표와 같습니다.

숫자 영단어
0 zero
1 one
2 two
3 three
4 four
5 five
6 six
7 seven
8 eight
9 nine

- 제한사항

  • 1 ≤ s의 길이 ≤ 50
  • s가 “zero” 또는 “0”으로 시작하는 경우는 주어지지 않습니다.
  • return 값이 1 이상 2,000,000,000 이하의 정수가 되는 올바른 입력만 s로 주어집니다.

- 입출력 예

s result
“one4seveneight” 1478
“23four5six7” 234567
“2three45sixseven” 234567
“123” 123

- 입출력 예 설명

  • 입출력 예 #1 – 문제 예시와 같습니다.
  • 입출력 예 #2 – 문제 예시와 같습니다.
  • 입출력 예 #3 – “three”는 3, “six”는 6, “seven”은 7에 대응되기 때문에 정답은 입출력 예 #2와 같은 234567이 됩니다. 입출력 예 #2와 #3과 같이 같은 정답을 가리키는 문자열이 여러 가지가 나올 수 있습니다.
  • 입출력 예 #4 – s에는 영단어로 바뀐 부분이 없습니다.

(풀이)

hint – 아래의 dictionary를 이용하세요

def solution(s):
    dct = {
        'zero': '0',
        'one': '1',
        'two': '2',
        'three': '3',
        'four': '4',
        'five': '5',
        'six': '6',
        'seven': '7',
        'eight': '8',
        'nine': '9'
    }
    for k,v in dct.items():
        s = s.replace(k,v)    
    return s 
solution("one4seveneight")
'1478'
solution("23four5six7")
'234567'
solution("2three45sixseven")
'234567'
solution("123")
'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