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11-28 – 원격컴퓨터에서 개발환경 셋팅하기 (1)

Author

최규빈

Published

November 28, 2023

1. 지난시간에 한것

- 원격컴퓨터에서 간단한 개발환경 셋팅

2. 원격컴퓨터에서 개발환경 셋팅하기

A. SSH 연결

- 연결하는 방법

ssh root@210.117.173.186 -p {학번끝5자리}

예를들어 학번끝5자리가 43052라면 root@210.117.173.186 -p 43052

초기비밀번호는 s+학번끝5자리이다. 즉 학번 끝 5자리가 43052라면 초기비밀번호는 s43052이다.

B. password 변경

- 아래를 실행하여 비밀번호를 바꿀 것

passwd root 

- 이후에는 아래를 입력하여 바뀐 password를 입력한다.

ssh root@210.117.173.186 -p {학번끝5자리}

C. 아나콘다 설치

- 아나콘다 홈페이지 접속 \(\to\) 다운로드 링크 확보 \(\to\) 아나콘다 다운로드

# 아나콘다 홈페 접속
# 다운로드링크 확보 (쉬프트+클릭으로 열면 홈페이지 주소 복사가능) 
wget 복사한주소

- (아나콘다 설치) 아나콘다를 다운받은 폴더로 가서 아래와 같이 실행한다.

bash Anaconda3-2019.03-Linux-x86_64.sh

대충 bash Ana 정도까지만 치고 tab을 누르면 알아서 완성된다. (스페이스를 누르면서 라이센스텀을 넘긴다)

D. 주피터랩 설치 및 실행

- 주피터랩 설치

conda install -c conda-forge jupyterlab 
conda install -c conda-forge notebook 

- 패스워드 설정

jupyter notebook password
## 패스워드 치고
## 확인해야함

- 실행

jupyter lab --ip="0.0.0.0" --port={MY-PORT} --no-browser --allow-root
Note

port는 {1,2,3,4 중 학번끝5자리의 첫 글자 제외} + {학번끝4자리} 조합으로 쓸 수 있음. 예를들어 학번끝 5자리가 43052라면

13052
23052
33052

에 해당하는 port번호를 쓸 수 있음.

- 백엔드에서 주피터랩 실행 (터미널을 껐을때 주피터도 꺼지는게 싫다면..)

- 백엔드에서 실행된 주피터랩 종료

E. 오토글루온 설치

- ref: https://auto.gluon.ai/stable/install.html

conda activate ag 
conda install -c conda-forge mamba
mamba install -c conda-forge autogluon

F. Git을 이용하여 강의노트 다운로드, 업데이트

- 예를들어 데이터시각화 강의노트를 받는다면 아래와 같이 입력한다.

git clone https://github.com/guebin/DV2023.git

- updated된 데이터시각화 강의노트를 받으려면 “해당폴더로 이동한 후” 아래와 같이 입력한다.

git pull

G. Kaggle 설정하기

- 아래를 실행

conda activate ag
pip install kaggle 

- kaggle.json 파일 업로드 + /root/.kaggle로 복사

cp kaggle.json /root/.kag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