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9-07 – 준비, 가상환경설정, Local ↔︎ Github

Author

최규빈

Published

September 7, 2023

1. 준비

- 윈도우 컴퓨터인 경우 새로운 계정을 만들어 준다.

  • 한글계정명일 경우는 필수
  • 영어계정이더라도 계정을 분리하는게 관리에 유리

- 최종적으로는

  1. github 로그인 + repository 생성완료
  2. anaconda 설치완료
  3. git 설치완료
  4. quarto 설치완료

이어야 한다.

A. Github

  1. github 로그인
  2. repository 생성 (저는 asdf로 만들었어요)

주의: repository 만들때 readme.md 파일을 생성 할 것. 그래야 이후의 작업이 편리.

B. Anaconda

  1. 아나콘다 다운로드: https://www.anaconda.com/download
  2. 아나콘다 설치
  3. 그림1처럼 terminal을 열었을 경우 (base)로 표시되는지 확인
  4. 그림2처럼 conda env list등의 명령어가 잘 동작하는지 확인

그림1: 정상적으로 설치된 경우 (base)가 보임

그림2: 정상적으로 설치된 경우 cond env list 등의 명령이 잘 동작함. 현재환경은 *로 표시됨

C. Git

  1. git 다운로드: https://git-scm.com/downloads
  2. 설치
  3. terminal에서 git을 입력하여 정상적으로 설치되었는지 확인. 그림3 참고.

본인이 편리한 경우 github desktop 혹은 sourcetree 등에서 작업해도 무방함. 하지만 수업에서는 다루지 않음.

그림3: git이 정상적으로 설치된 경우 출력예시

D. Quarto

  1. quarto 다운로드: https://quarto.org/docs/download/ 에서 pre-release 버전을 다운로드 할 것 (기능이 좀 더 많음)
  2. 설치
  3. 터미널에서 quarto help를 입력하여 정상적으로 설치되었는지 확인. 그림4 참고.

그림4: quarto가 정상적으로 설치된 경우 출력예시

2. 가상환경 설정

- 가상환경 만들기, activate, 주피터랩 설치

conda create -n mp python=3.10 # 가상환경만들기
conda activate mp # 가상환경 activate
conda install -c conda-forge notebook # 주피터노트북(=랩과 통합됨) 설치 

- 주피터랩 실행

jupyter lab 

3. Local \(\leftrightarrow\) Github

- 깃헙레포지토리 접속

- 주소복사. 그림5 참고. 그림5의 화면이 나오지 않는다면 레포지토리를 잘 못 만든 것임

그림5: github repo -> code -> local, https:// -> 복사버튼. 이 예시의 경우 복사가 정상적으로 되었다면 “https://github.com/guebin/asdf.git” 이 복사되어야함

- 터미널을 열고 clone

git clone https://github.com/guebin/asdf.git

클론이 정상적으로 되었다면 레포지토리 명의 폴더가 생성됨 (이 예시의 경우 asdf 폴더)

- 클론된 폴더에서 readme.md 파일을 수정

- local(개인컴퓨터)에서 github으로 변경사항 업로드

git add .
git commit -m .
git push